대학입시
  • ‘인서울’ 학생부교과전형 합격하려면? 지난해 합격자 내신 등급 모아보니…
  • 한송연 인턴 기자

  • 입력:2021.07.28 09:38

 

최근 대입정보포털 ‘어디가’에 각 대학의 전년도 입시결과가 공개됐다. 전년도 입시결과를 합격의 절대적인 기준으로 삼을 순 없지만 이를 통해 수험생은 대략적인 합격선을 추정해 지원 여부를 가늠할 수 있다. 수시 전략을 수립하기에 앞서 반드시 살펴봐야 할 자료인 것. 특히 내신 성적 외에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평가되는 타 전형에 비해 내신 성적이 합격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히는 학생부교과전형 지원자라면 전년도 입시결과 없이 지원 전략을 논할 수 없다. 진학사와 함께 어디가(☞클릭)에 공개된 수도권 주요대학들의 2021학년도 학생부교과전형 최종 등록자 성적을 살펴봤다. 

 

 

○ 인문계열, 대부분 2~3등급 이내에 분포… 최저 유무에 따라 갈려

 

지난해 수시모집에서 학생부교과전형을 실시하지 않았던 서울대, 연세대, 서강대, 성균관대를 제외하고 수도권 29개 대학의 학생부교과전형 입시결과를 살펴본 결과, ‘최종 등록자 상위 70%의 환산등급’을 기준으로 대부분 대학의 입시 결과는 4.5등급 이내에 분포하고 있었다. 

 

그 중에서도 △한양대 △고려대 △이화여대 △홍익대 △중앙대 등의 경우 모집단위별로 최종 등록자 상위 70%의 성적이 대부분 2등급 이내여서 합격의 벽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능 최저학력기준 유무에 따라 성적 분포 양상이 달랐는데, 한양대와 같이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없는 전형의 합격자 성적이 더욱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진학사 제공

 

그밖에 한성대를 제외한 대부분의 수도권 대학의 입시결과는 2~3등급 이내로 나타났다. 수도권 대학의 학생부교과전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내신 성적이 3등급 이내여야 한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 자연계열, 인문계열보다 평균 성적 높지만 분포는 더 넓어

 

자연계열의 경우도 대부분 대학의 모집단위별 입시결과가 4.5등급 이내에 분포하고 있었다. 인문계열과 비교해 평균적인 성적은 다소 높게 나타나지만, 분포는 보다 넓은 것이 특징이다. 이는 평균에서 다소 벗어나는 성적대에서도 합격자가 꽤 나온다는 뜻이다. 
 

 

▲진학사 제공

 

중앙대의 경우 수험생의 선호도가 높은 대학임에도 불구하고 학생부교과전형 최종 등록자 상위 70%의 성적이 3등급대로 나타났다. 다만 이는 첨단소재공학과, 식품공학부(식품영양) 등 안성캠퍼스 소재의 일부 모집단위에 국한된 것으로, 대부분의 모집단위는 2.1등급 이내에 분포하고 있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많은 학생들이 학생부교과전형은 1~2등급대 학생들의 전유물로 알고 있지만, 수능최저학력기준과 면접 여부, 교과 성적 반영 방법(반영 교과목 수, 등급별 환산점수 등) 등에 따라 예상과는 다른 결과가 나타나기도 한다”면서 “막연한 부담감으로 교과전형을 회피하기보다는 모의고사 성적을 바탕으로 정시 지원 가능 및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여부 등을 고려하여 적극적으로 학생부교과전형을 도전해 보는 것도 전략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에듀동아 한송연 인턴 기자 edudonga@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에듀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에듀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목록

  • 위로

작성자 필수
내용
/500글자
    • macmaca
    • 2021.07.29 05:20
    • 서울대 아주 오랫동안 점수발표 없어왔음. 점수발표없이 사설학원작성 가상의 배치표로 이어지다, 최근 점수가 집계되기 시작함.법이나 교과서자격이 없으면, 입시점수!. 왜구잔재대학은 주권.자격.학벌이 없음.

      Royal성균관대(국사 성균관 자격, 한국최고대)와 서강대(성대다음 Royal대 예우)는일류,명문끝. 法(헌법,국제관습법).교과서(국사,세계사)>입시점수 중요.여기서부터는 이이제이에 적응해 버티는게 생명력이 오래갈것. 어떻게 정리해야 할지 잘 모르겠음. 주권.자격.학벌없는 왜구 서울대밑에서 대중언론으로는 밑에있던 대학
    • macmaca
    • 2021.07.29 05:20
    • 들이라 이라 주권.학벌없이 이이제이가 적당함. 논란必要. 국가주권.자격.학벌없이 임시정부요인 개인설립 국민대,신흥대(경희대),인하대(공대)>완충女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공대만),가톨릭대(醫),항공대, 後포항공대,특목대로는 육사,後경찰대,카이스트. 그리고 패전국 일본 잔재로 주권.자격.학벌이 없어온 왜구잔재 서울대(100번),왜구 초급대출신 부산대.경북대.전남대.이리농림고 후신 전북대 농대가 기반이며 초급대등 병합한 전북대,왜구 초급대출신 시립대,연세대(일본강점기 연희전문 후신 연세대. 국시 110브 연세대),
    • macmaca
    • 2021.07.29 05:21
    • 연세대(일본강점기 연희전문 후신 연세대. 국시 110브 연세대), 고려대(구한말 서민출신 이용익이 세운 보성전문이 모태, 동학란을 일으킨 천도교 소속이다가, 해방후 친일파 김성수가 인수 고려대로 변경).

      http://blog.daum.net/macmaca/3154

    • faguexy
    • 2022.12.27 07:59
    • The heatmap shows 97 miRNAs significantly differentially expressed adjusted p value versus LY2 EtOH and MCF 7 4 OHT versus LY2 4 OHT, see Tables 1 and 2, respectively <a href=http://lasix.autos/>buy lasix online australia</a> This reduction in MEK 1 expression significantly increased both the ROS levels Figure 5b and mitochondrial membrane depolarization Figure 5c in cells subjected to 4 OHT and or MIF treatment in IGF 1 supplemented med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