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시
  • 2022 수시, 상위권은 ‘학교장추천전형’으로 몰린다… 상향 지원도 가능
  • 김수진 기자

  • 입력:2021.06.14 11:05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 '2022학년도 수시 학교장추천전형 특징 및 지원전략'


 


동아일보 DB

 


교육부의 대입 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에 따라 2022학년도부터 수도권 소재 주요 대학들이 지역균형 선발을 대폭 확대한다. 대부분 학교장추천이 필요한 학생부 교과 위주로 신입생을 선발하기에 교과 성적이 우수한 상위권 학생들의 수시 지원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와 올해 더욱 중요해진 학교장추천전형에 대해 알아봤다.

 

수도권 33개 대학이 학교장추천전형 운영대부분 교과 위주로 신입생 선발

 

2021학년도까지만 해도 수도권 대학 중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를 비롯해 12개 대학만이 수시에서 학교장추천전형을 운영했다. 그러나 올해는 33개 대학이 지역균형또는 학교장추천등의 명칭으로 학교장추천전형을 운영한다. 서울대 지역균형선발’, 가톨릭대 학교장추천을 제외하고 학생부 교과 위주로 신입생을 선발한다. 모집 인원도 11471명으로 결코 적지 않다.

 

서울 소재 주요 대학 중에서 상명대 서울시립대 숙명여대 한국외대 한양대 홍익대는 기존의 학생부교과전형에 학교장추천자격을 추가해 고교별 지원 가능 인원을 제한한다. 전형방법은 크게 다르지 않지만, 인원이 제한돼 경쟁 수준 및 입시결과는 지난해와 달라질 가능성이 크다. 중앙대는 기존의 학생부교과전형과 학교장추천전형을 통합해 지역균형으로 학생을 선발한다.

 

건국대 경희대 동국대 연세대는 학생부종합으로 선발하던 학교장추천전형을 학생부교과로 변경했다. 덕성여대 서강대 성균관대 세종대는 학생부 교과 위주의 학교장추천전형을 신설했으며, 광운대 명지대 서울여대 성신여대 숭실대도 학교장추천전형을 신설해 추천 인원에 제한 없이 신입생을 모집한다. 고려대 서울대 이화여대 등 나머지 대학은 전년도와 동일하게 운영하거나, 선발 규모만 일부 변경했다.

 

학교장추천전형 확대로 소신 및 상향 지원 노려볼 수도

 

서울 소재 주요 대학의 학교장추천전형의 경우 서울대를 제외한 모든 대학이 학생부교과전형으로 학생을 선발한다. 학생부교과전형은 수능 최저학력기준 미충족자, 중복합격자 등으로 다른 전형보다 추가 합격이 많고, 올해 선발 규모도 확대돼 전년도보다 입시 경쟁률이 완화될 가능성이 있다.

 

학교장추천이 늘어난 만큼 상위권 대학 지원 기회도 커졌다. 예를 들어 지난해 전교 10등이 경희대를 추천받았다면, 올해는 경희대보다 상위 대학을 추천받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교과 경쟁력을 갖춘 학생이라면 공격적인 지원을 고려해볼 만하다. , 학생부교과전형을 신설한 대학들은 참고할 만한 데이터가 부족해 변수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

 

 

대학마다 추천 인원 제한재학 중인 고등학교의 추천 기준 및 내신 관리 필수

 

학교장추천전형은 추천 인원에 제한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인문자연계열별로 추천 인원을 할당하는 대학(경희대 동국대 세종대 등), 계열 구분 없이 고교별로 추천 인원을 제한하는 대학(서강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중앙대 한국외대 등), 재적 학생 수의 일정 비율을 지정한 대학(고려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한양대 등) 등 기준도 각기 다르다.

 

인원이 제한되다 보니 고등학교에서도 자체 규정에 따라 학생들에게 추천권을 부여한다. 3학년 1학기까지 내신 성적을 기준으로 추천 기회를 주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내신 외 다른 요소까지 고려해 학생을 선별하기도 한다. 따라서 재학 중인 고등학교의 추천 기준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떠한 경우이든 학교장추천전형의 핵심은 어디까지 추천받을 수 있느냐이며, 그 기준은 내신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1학기 기말고사까지 최선을 다해 교과 성적을 관리해야 한다.

 

경쟁자 내신 성적 및 수능 최저학력기준 충족 가능성 모두 고려해야

 

재학 중인 학교의 추천 기준을 충족해 자신의 차례까지 추천이 왔다고 해서 무작정 학교장추천전형으로 지원해서는 안 된다. 학교장추천전형처럼 지원자 수가 적고, 교과 성적대가 촘촘한 전형일수록 신중할 필요가 있다. 해당 전형에 추천을 받아 지원하는 다른 경쟁자들의 내신 성적은 물론, 대학이 교과 외 서류나 면접 등을 따로 반영하는지도 면밀히 확인해야 한다.

 

수능 최저학력기준 충족 여부도 중요한 변수이다. 내신이 아무리 뛰어나도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합격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는 대학의 경우 실질 경쟁률이 낮게 형성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추천받는 대학의 수능 최저학력기준도 따져봐야 한다. 한편 전년도와 비교해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강화된 대학은 입시결과가 낮아질 가능성이,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폐지되거나 완화된 대학은 입시결과가 높아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변동 사항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대부분 졸업예정자 및 재수생으로 지원 제한졸업자라면 자격 제한 확인할 것

 

학교장추천전형은 대부분 졸업예정자 또는 20172월 이후 졸업자로 지원 자격을 제한하고 있다. 경희대 서강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중앙대의 경우 졸업예정자만 지원 가능하고, 이화여대 한양대 홍익대는 2021년 이후 졸업자, 즉 재수생까지만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전에 반드시 관심 대학의 지원 자격을 확인해야 한다. 또한 고등학교에 따라 재학생과 졸업생 추천 규정이 다를 수도 있으므로 졸업한 고등학교의 규정도 미리 확인해야 한다.

 


▲이투스교육 제공

 



▶에듀동아 김수진 기자 genie87@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에듀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에듀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입력:2021.06.14 11:05
  • 저작권자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목록

  • 위로

작성자 필수
내용
/500글자
    • macmaca
    • 2021.06.14 11:15
    • 국제법상 일본이 항복후, 포츠담선언(카이로선언 포함)에 따라, 한국영토에서 일본의 모든 주권은 없어왔음.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는 한국영토에 주권.자격.학벌이 없어왔음. 현행헌법 임시정부 구절(한일병합 무효, 을사조약등 불평등 조약 무효, 대일선전포고)에도 맞지 않는게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임.해방후 미군정부터 국사 성균관(성균관대)교육을 시켜온 나라 대한민국임.

      헌법(을사조약.한일병합 무효, 대일선전포고),국제법, 교과서(국사,세계사)를 기준으로, 일제강점기 잔재를 청산하고자하는 교육.종교에 관심가진 독자임.
    • macmaca
    • 2021.06.14 11:15
    • Royal성균관대(국사성균관자격,한국 최고대),서강대(세계사의 교황윤허반영,성대다음Royal대)는 일류.명문끝.

      국사 성균관(성균관대)자격뒤에서 왜구서울대극복은 서강대 학구파가유일.2차대전이전 세계지배세력 서유럽.교황윤허資格작용되면 가능한현실.패전국 일본 잔재니까 주권.자격.학벌없이 100서울대,국시110브[연세대>고려대]로살고 Royal성균관대(한국최고대)나 Royal서강대(성대다음예우)위로 점프不認定.대중언론통해 자격없는힘뭉쳐 이미지창줄수준.태학.국자감(北京大),볼로냐.파리대資格.http://blog.daum.net/macmaca/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