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시
  • 학교장추천전형 확대, 미리 내다 본 고교선택법은?
  • 김수진 기자

  • 입력:2021.03.08 10:08

 


동아일보 DB

 

급변하는 대학 입시와 고교학점제 최종안 발표, 대입에서 학생부 제출 범위 축소 등으로 인한 다양한 입시 변화로 인해 매년 고교선택이 숙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에 학생 본인 또는 자녀에게 맞는 학교 선택은 무엇일지 고민이 많습니다. 이에 올바른 고교 선택을 위해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2022학년 대입부터 학교장추천 선발 , 미리 점쳐보는 가능성?

 

올해 대학입시에서 큰 변화는 학교장추천 선발전형의 확대입니다. 지난해까지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야만 지원할 수 있는 전형이 있는 서울 상위권 대학으로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이화여대 중앙대 경희대 등이 대표적이었으나, 올해부터는 서강대 성균관대에도 학교장추천전형이 신설되고 한양대 한국외대 서울시립대에도 교과전형에 학교장 추천방식이 도입됩니다.

 

학교장추천전형은 대학에 따라 추천 인원이 제각각입니다. 인원 제한 없이 추천공문에 이름만 올리면 지원할 수 있는 학교가 있는가 하면 재학생의 일정 비율 이내로 추천이 가능한 학교, 정해진 인원 안에서 추천이 가능한 학교 등으로 다양합니다.
 

[] 2022 서울 주요 대학 학교장추천전형 선발 현황

학교명

전형명

모집인원

추천 대상

서울대

지역균형선발

664

고교별 2명 추천

연세대

추천형 (종합 교과)

523

3 재학 인원의 5% 이내

고려대

학교추천

839

3 재학 인원의 4% 이내

서강대

고교장추천 (종합 2)

172

고교별 최대 10명 추천

성균관대

학교장추천 (신설)

361

3 재학 인원의 4% 이내

한양대

지역균형발전 (학생부교과)

320

3 재학 인원의 11% 이내

이화여대

고교추천전형

400

3 여학생 인원 5% 이내 (최대 10)



학년별 학생 수에 따라 달라지는 1등급 인원, 눈으로 확인하자

 
 

 

늘어난 학교장추천전형의 기회를 잡으려면, 자신이 고등학교 진학 시 경쟁력 있게 교과 관리가 가능한지 판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러한 판단에는 본인의 실력에 대한 냉철한 분석이 기초가 되어야 하겠지만 지원하려는 고교의 객관적인 환경을 파악하는 것도 포함됩니다. 쉽게 말해 내가 원하는 내신을 따기가 수월한 학교인가, 아닌가를 고민해봐야 한다는 뜻입니다.

 
 

[] 학교알리미에 공개된 서울 일부 학교의 국영 성적자료 비교(1학년 1학기 기준)

자료: 학교알리미

구분

학교명

1학년

인원

1등급

인원

(상위4%)

국어

수학

영어

평균

편차

성취도A

평균

편차

성취도A

평균

편차

성취도A

과학고

세종과고

160

6

70.6

10.4

67.5

66.8

15.8

66.9

70.9

15.6

66.2

1~6등급

1~6등급

1~6등급

한성과고

141

6

81.2

7.7

90.8

62.5

17.3

80.9

79.1

16.3

84.4

1~8등급

1~7등급

1~7등급

외국어고

명덕외고

255

10

92.3

7.1

78.7

79.4

13.3

24.4

85.8

9.6

46.5

1~7등급

1~4등급

1~5등급

대일외고

257

10

87.2

7.2

83.7

87.8

5.7

90.3

84.1

7.4

64.7

1~7등급

1~8등급

1~6등급

광역자사

휘문고

402

16

83.7

15.8

50.3

77.1

18.6

31.4

79.0

15.8

28.6

1~5등급

1~4등급

1~4등급

한가람고

246

10

77.8

14.3

17.5

74.2

13.9

13.1

68.6

18.8

12.0

1~3등급

1~3등급

1~3등급

전국자사

상산고

366

15

86.0

6.6

34.1

78.4

15.1

29.4

81.5

13.2

34.1

1~4등급

1~4등급

1~4등급

하늘고

230

9

77.5

10.2

9.2

74.6

15.9

20.6

77.7

12.9

18.9

1~2등급

1~3등급

1~3등급

일반고

양천고

306

12

73.0

16.0

16.9

69.2

16.8

9.4

66.4

16.6

6.5

1~2등급

1~2등급

1~2등급

계성고(서울)

262

10

76.7

18.0

46.1

57.5

21.8

25.1

58.3

22.8

30.0

1~5등급

1~4등급

1~4등급

단대부고

378

15

80.5

12.9

29.2

73.4

15.5

10.9

75.6

17.3

25.7

1~4등급

1~2등급

1~4등급


이를 위해 학교알리미에 공개된 일부 학교들의 성적 자료를 비교해보겠습니다
. 우선 학년별 전체 인원수에 따라 상위 4%에 해당하는 1등급 인원이 각기 다름을 알 수 있습니다. 석차9등급제에서 1등급은 전체 재적 인원의 상위 4%까지만 주어집니다. 당연히 학생 수가 적을수록 1등급을 받는 인원이 적고, 반대로 학생 수가 많으면 1등급 인원도 늘어납니다. 학생 수가 많은 경우에는 그만큼 경쟁이 더 치열한 점을 감안해야 하지만 한편으론 1등급을 받는 학생 수가 절대적으로 적다는 점은 내신 경쟁에서 다소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만약 조금 더 깊이 들어간다면 학교장추천 자격을 받을 수 있는 기준까지 자신이 진입이 가능한지도 따져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양대 지역균형발전전형은 고3 재학인원 11% 이내로 추천이 가능한데, 표에 나타난 한가람고의 경우라면 20201학년 기준으로 최소 27명 이내에는 들어야 합니다. 물론 고교에 따라 내부 추천 기준에 내신 외에 여러 요소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만, 고교 진학 전 시점에선 이를 토대로 목표로 삼아야 할 내신 등을 수립할 수 있겠지요.

 

학교장추천을 받기 위해서 우수한 내신 성적은 기본입니다. 막연하게 우수한 내신 성적을 받겠다고 다짐하는 것과 1등급을 받기 위해 필요한 석차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 알고, 1등급 달성이 가능한 고교를 선택하는 것은 다른 차원의 전략입니다. 고교 진학 전, 충분히 자료를 수집하고 고민해 보세요.

 

 

표준편차와 성취도 비율도 눈여겨봐야

 

학생 수와 함께 살펴봐야 할 것은 구체적인 성적 자료입니다. 표를 보면 학교별로 국어, 수학, 영어 등 주요 과목에서 표준편차가 20 이상으로 높은 곳이 있고, 10 이하인 학교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표준편차가 높은 곳은 상대적으로 학생 간 성적차가 큰 편이라고 볼 수 있으며, 표준편차가 낮은 곳은 성적 경쟁이 치열한 곳이라고 판단해 볼 수 있습니다.

 

과목별 성취도 A의 비율도 잘 살펴봐야 합니다. 성취도 A에 해당하는 학생의 비율이 더 높을수록 경쟁이 치열하고 성취도 A 범위 안에 들지 못하면 현재 상대평가 체제의 교과제도에서 불리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특목고나 자사고의 경우 성취도 A 비율이 워낙 높기 때문에 해당 범위에서 벗어나면 석차등급으로는 8~9등급까지도 각오해야 합니다.

 

물론 이러한 성적 자료는 매년 학생들의 역량에 따라 조금씩 달라집니다. 하지만 학년 단위로 갑자기 분위기가 급변하는 경우는 많지 않으므로 대략적인 학교 분위기나 환경을 점쳐보기엔 유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배경 자료와 자신의 중학교 성적을 토대로 고교 진학 시 교과 성적 관리가 용이한지를 판단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해당 고교 진학 시 향후 대입에 활용되는 추천 인원수 혹은 비율 안에 들어갈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우선이고, 그 다음으로는 성취도 A 비율, 블라인드 평가에서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과목별 편차 등을 파악하고 학교를 선택해야 할 것입니다

 

고등학교 선택 체크포인트

1

지필고사에 강한 스타일인가? 지필고사/수행평가 멀티 스타일인가? (수시형, 정시형)

2

자신의 진로에 대해 고민이 많은가? 부족한가? (희망 진로와 대입 지원 학과 연관)

3

고등학교 등수 경쟁력에서 중학교 역량 기준을 볼 때, 상위권? 중위권? 하위권?

4

지원할 학교가 문과 비율이 높은가? 이과 비율이 높은가? (2학년 탐구과목 시험 문이과 구분)

5

고등학교가 수시 실적이 좋은가? 정시 실적이 좋은가?

6

고등학교 학생수가 많은가 적은가? 학생들 편차 수준은 어떤가?

7

일반과목 외에 진로과목 등의 많은 공부 양 소화 능력이 가능한가? (탐구, 전공어 추가 과목)

8

다양한 학교 활동 프로그램, 학생부 관리 정성, 교과편성 수업들이 다양한가?


 
 


오재성 대치 다원교육 입시연구소 소장 



▶에듀동아 김수진 기자 genie87@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에듀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에듀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입력:2021.03.08 10:08
  • 저작권자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목록

  • 위로

작성자 필수
내용
/500글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