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시
  • 학평 마친 고3, 이제부턴 수시다… 2021학년도 서울 주요대학 면접‧논술 일정 한눈에
  • 김수진 기자

  • 입력:2020.05.22 18:03

 



동아일보 DB

 

등교 개학한 고3의 대입 시계도 본격화되고 있다. 21일 올해 첫 수능 모의고사까지 치르면서 이를 토대로 본인의 주력 대입 전형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도 일정 부분 가능해졌다. 이제부턴 본격적으로 대입 준비에 나서야 한다. 고등학교 전 학년 가운데 고3만 유일하게 매일 등교하도록 한 것 역시 결국 다가오는 2021학년도 대입 대비가 시급하기 때문.

 

빠듯한 일정 속 맞이하는 2021학년도 대입 대비의 첫 걸음은 등교 개학 직후부터 숨 가쁘게 몰아치는 대입 일정을 본인의 관점에서 재정리하는 것이다. 지난 18일을 기점으로 각 대학의 수시 모집요강이 모두 발표돼 구체적인 전형 일정을 상세히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면접과 논술 등 대학별 고사가 있는 전형에 지원하려는 경우 희망 대학 간 전형일정이 겹치지 않는지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2021학년도 서울 주요 대학의 학생부 위주 전형의 면접 일정과 논술 일정을 한눈에 살펴보자.

 

 

[] 2021학년도 서울 주요 대학 면접논술 일정

(2020.05.22. 기준)

대학

학생부 위주 전형 면접

논술전형 고사일

대상자 발표

고사일

건국대

(서울)

KU자기추천

12.4() 14

KU자기추천

-건축학부/KU융합과학기술원/수의예 12.12()

-이과대학/공과대학/생명과학대학/수학교육 12.19()

-인문계 12.20()

-인문사회계 12.5() 10

-자연계 12.5() 15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고사 3-4일 전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고사 3-4일 전

경희대

(서울)

네오르네상스

12.9() 18

 

네오르네상스

-인문계 12.19() 9-13, 14-18

-자연계 12.20() 9-13

-의학계 12.20() 14-18

-자연계 12.20() 9-13, 14-18*국제캠퍼스

-자연계의학계 12.5() 9-11

-인문계 12.5() 15-17

-사회계 12.6() 9-11, 15-17

-자연계 12.5() 9-11*국제캠퍼스

-자연계 12.6() 9-11*국제캠퍼스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12.16() 18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12.2() 18

고려대

(서울)

학교추천

일괄전형

학교추천

-인문계 12.5() 8:10~, 13:30~

-자연계 12.6() 8:10~, 13:30~

-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12.1()

일반(학업우수형)

12.3() 17

일반(학업우수형)

-자연계 12.11() 8:10~, 13:30~

-인문계 12.12() 8:10~, 13:30~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12.8()

일반(계열적합형)

11.13() 17

일반(계열적합형)

-인문계/자연계 11.21() 8:10~, 13:30~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11.17()

동국대

(서울)

Do Dream

(SW전형 포함)

12.1()

Do Dream

-12.19()~20() 8:30~, 12:30~, 16:00~

-(SW전형) 12.19() 8:30~, 12:30~, 16:00~

-자연계열 12.6() 10:00~11:30

-인문계열12.6() 13:30~15:10

-인문계열12.6() 16:30~18:10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대상자 발표 시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12.2()

서강대

-

-

-자연계열 12.5() 9:30~, 14:00

-인문계열 12.6() 9:30~, 14:00

서울대

일반

12.4() 18

일반(미술대학/음악대학 제외)

-사범대학 교직적성인성면접 12.11()

-전 모집단위(의학계열 제외) 12.11()

-수의과대학/의과대학/치의학 12.12()

-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고사 일주일 전

지역균형선발

일괄전형

지역균형선발(미술대학/음악대학 제외)

-전 모집단위(의학계열 제외) 12.18()

-수의과대학/의과대학/치의학 12.19()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고사 일주일 전

서울시립대

12.4() 17

12.12()

-자연계열 10.24() 10:00~12:00

-인문계열 10.24() 15:00~17:00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1단계 합격자 발표 후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10.15() 17

성균관대

학과모집

-사범/스포츠

11.4() 14

-의예

11.11() 14

학과모집

-사범대학 11.7()

-스포츠과학 11.8()

-의예 11.14()

-인문계 12.5() 8:30~, 12:30~

-자연계 12.6() 8:30~, 12:30~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대상자 발표 시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11.18() 14

숙명여대

숙명인재

(SW전형 포함)

12.3() 17

숙명인재

-인문계/의류학과 12.12()

-자연계(의류학과 제외) 12.13()

-SW융합인재 12.13()

-인문계/의류학과 12.5()~6()

-자연계(의류학과 제외) 12.5()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12.8() 17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12.1() 17

연세대

(서울)

면접형

11.9() 17

면접형 11.14() 오전, 오후

-인문계열 10.10() 14:00~16:00

-자연계열 10.10() 09:00~11:30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대상자 발표 시

활동우수형

12.7() 17

활동우수형

-자연계열 12.13() 오전, 오후

-인문/사회/통합계열 12.19() 오전, 오후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대상자 발표 시

국제형

12.7() 17

국제형 12.12()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대상자 발표 시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10.6()

이화여대

고교추천전형

일괄전형

고교추천전형

11.14()~15()

12.13()

중앙대

(서울)

-

-

-자연계열 12.12() 10:00~, 14:00~

-인문계열 12.13() 10:00~, 14:00~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12.8() 14

한국외대

(서울)

면접형

11.11() 14

면접형

-전 모집단위 11.22() 9:00~, 14:00~

-사회과학대학/국제학부/LD학부

12.12() 10:00~11:40

-상경대학/경영대학/LT학부

12.12() 15:00~16:40

-영어대학/서양어대학/중국학대학

12.13() 10:00~11:40

-아시어언어문화대학/일본학대학/사범대학

12.13() 15:00~16:40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대상자 발표 시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12.8()

한양대

(서울)

-

-

-자연계열 12.5() 9:45~, 13:30~, 17:00~

-인문/상경계열 12.6() 9:45~, 13:30~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11.30()

홍익대

(서울)

미술우수자

11.27()

-12.12() 8:30~, 14:00~

-12.13() 8:30~, 14:00~

-자연계열/자율전공[자연예능]

10.24() 10

-인문계열/예술학과/자율전공[인문예능]

10.25() 10

고사장 및 입실시간 공고: 고사 3일 전

전형일정은 반드시 지원 대학의 최신 모집요강을 통해 확인

* 학생부 위주 전형 특별전형, 체능계열의 전형일정은 제외함.

* 고사 시간은 입실 완료시간 또는 시험 시작시간임. 세부 모집단위별 자세한 고사 시간은 지원 대학의 모집요강 참조.

 

학생부 위주 전형 가운데 학생부교과전형은 대체로 서류 중심의 평가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고려대 학교추천전형, 이화여대 고교추천전형과 같이 면접을 실시하는 대학도 있다. 고려대 학교추천전형은 수능 직후 주말인 125()에 인문계열, 126()에 자연계열을 대상으로 오전과 오후로 나눠 면접을 실시한다. 반면 이화여대 고교추천전형은 수능 전인 1114()15(), 이틀에 걸쳐 면접을 실시한다.

 

학생부종합전형은 대체로 서류평가와 면접을 함께 실시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오로지 서류평가만 실시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학생부종합전형을 두 개 이상의 복수 전형으로 나눠 운영하는 경우 면접이 있는 전형과 없는 전형으로 구분해 운영하기도 한다.

 

2021학년도 대입에서도 건국대(KU학교추천) 경희대(고교연계) 동국대(학교장추천인재) 서강대(1, 2) 이화여대(미래인재) 중앙대(다빈치형인재, 탐구형인재) 한국외국어대(학생부종합전형_서류형) 한양대 등이 면접평가 없이 서류만으로 합격자를 선발한다.

 

하지만 이처럼 면접이 없는 전형은 그만큼 지원자가 많아 경쟁률이나 합격선이 높게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비교적 면접에서 강점을 보이는 수험생이라면 전략적으로 면접이 있는 전형을 노리는 것도 방법이다.

 

한편, 2021학년도 대입 논술고사는 123일 수능 직후 주말인 125(), 6()에 가장 많이 몰려있다. 특히 서강대와 한양대는 계열별 논술고사 일정이 겹치므로 지원 시 유의해야 한다.

 

 



▶에듀동아 김수진 기자 genie87@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에듀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에듀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입력:2020.05.22 18:03
  • 저작권자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목록

  • 위로

작성자 필수
내용
/500글자
    • macmaca
    • 2020.05.22 22:44
    • 기사 잘 보았습니다. 한편, 대학관련 내용입니다.

      * 해방후 주권없고 학벌없는 패전국 일본 잔재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와 그 추종세력들이 대중언론에서 국사 성균관 자격 가진 Royal성균관대에 저항해 온 나라. 해방후 미군정당시, 성균관을 복구시키기로 한 법률이 발효되어, 전국 유림대회를 개최하고, 이승만.김구선생을 고문으로 김창숙 선생을 위원장으로 한 임시정부 요인들이 성균관의 정통을 승계한 성균관대를 설립(복구형식)하여 향교에 관한 법률등으로 성균관대와 성균관의 재정에 기여토록 하였음.
    • macmaca
    • 2020.05.22 22:44
    • 해방후 미군정당시 전국 유림대회의 뜻에 따라 대학은 성균관대, 釋奠[선성(先聖)이신 공자님에 대한 제사]은 성균관으로 분리하는 역사를 존중하여 성균관이 성균관대의 대학자격만 인정하고 별도의 대학을 설립하지 않고, 오늘에 이르면서 국사에 나오는 최고대학 성균관의 자격은 성균관대로 한정하여, 지금까지 이어지면서 6백년 넘는 역사를 인정받고 있음.

       

      세계사 태학.국자감(베이징대), 볼로냐.파리대 안바뀜. 한국사 성균관(성균관대)도 바뀌지 않아옴.

      입시전문지 베리타스 알파 상위 15개대 정리.